현재 받은 메시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:
이 문자의 정체를 확인해 본 결과, 아래와 같은 점에서 피싱 또는 계정 도용 시도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🔍 문자의 출처 분석
1️⃣ 정상 서비스라면 ‘서비스명’이 반드시 포함됩니다.
-
예시:
-
Google 인증 코드: 123456
-
네이버 인증번호 [123456]
-
-
하지만 이 문자는 단순히
"Link verification code"
라는 애매한 표현만 사용 → 신뢰도 낮음
2️⃣ 발신 번호가 국제 번호 (00350...)
-
+350
은 지브롤터(Gibraltar) 지역 번호로, 한국 서비스와 무관 -
대부분의 글로벌 서비스도 한국에서는 +82 번호 또는 자체 인증 시스템 사용
3️⃣ "Link verification code"는 일반적인 서비스에서 사용하지 않는 문구
-
구글, 네이버, 카카오 등은 모두 고유한 표현 방식을 씀
-
이 문구는 보통 임의의 서비스에서 인증 시도를 할 때 쓰는 형태
📌 현재 상황은 다음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:
✅ [계정 도용 시도]
-
누군가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도용해 가입/로그인 시도
-
SNS, 이메일, 메신저 앱에서 2차 인증 요청이 실패해 전송된 것일 수 있음
✅ [피싱 문자]
-
가짜 인증코드처럼 보이게 해서, 사용자가 나중에 해당 코드를 악성 사이트나 앱에 입력하도록 유도
-
추후 연결된 링크, 또는 추가 메시지가 오면 100% 피싱
✅ 지금 꼭 해야 할 보안 조치
-
최근 로그인 기록 확인
아래 서비스에서 최근 로그인 내역 확인: -
비밀번호 즉시 변경
자주 사용하는 이메일, SNS, 금융 앱의 비밀번호를 모두 변경하세요.
👉 같은 비밀번호를 여러 서비스에 쓰고 있다면 모두 다르게 바꾸세요. -
2단계 인증 설정 (OTP 등)
-
구글 OTP 앱(Google Authenticator), Microsoft Authenticator 등 사용
-
SMS 기반 인증보다 보안이 강력합니다
-
-
해당 번호 차단
-
스마트폰에서 바로 차단하거나
-
통신사 고객센터(KT 114 / SKT 114 / LGU+ 114)에 스팸 차단 요청
-
🚫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
-
이 인증번호를 어떤 사이트나 앱에 입력하지 마세요
-
추가로 오는 문자에 링크가 있다면 절대 클릭 금지